검사항목 2.3 응답시간 조절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응답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필요성
콘텐츠를 인식하고 이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시각장애인이나 애플리케이션의 운용이 어려운 지체장애인들은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가 있을 경우 제한된 시간 안에 필요한 기능을 이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득이 사용할 경우 시간제한을 취소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대상
- 지적장애
- 지체장애
- 시각장애
- 노약자
체크리스트
-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가 있는지 확인
- 시간제한을 취소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있는지 확인
- 취소 또는 제어수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
예외사항
온라인 경매, 실시간 게임 등과 같이 반응 시간의 조절이 허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 검사 항목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다만 이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시간제한이 있다는 것을 미리 알리고, 종료되었을 때 이를 알려야 한다.
- 예)세션 만료시간이 20시간 이상인 경우
QA 지표
오류 수
- 이용시간에 제한이 있는 콘텐츠에 시간제한을 제어하는 기능(시간제한 해제, 시간제한 연장)을 제공하지 않은 수
- 콘텐츠 유형 : 입력시간제한, 자동 갱신, 자동 페이지 이동 등
- 제어하는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콘텐츠 수
적용 기술
-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제공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부득이 제공할 경우 시간제한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하며 남은 시간을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 제어기능 : 시간제한의 해제 또는 시간제한 연장 등의 시간 조절